System Settings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1편 - 리눅스와 커널 개요
midworker
2025. 5. 14. 22:09
반응형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1편 - 리눅스와 커널 개요
리눅스 운영체제의 기본 구조와 커널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 관리와 프로그래밍의 기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리눅스의 구성과 커널의 핵심 기능을 정리합니다.
✅ 리눅스란?
-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 호환 오픈소스 운영체제입니다.
-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멀티태스킹), 멀티스레드, 네트워크 기능을 기본 지원합니다.
- 높은 안정성과 보안성 덕분에 서버, 클라우드,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리눅스의 기본 구조
계층 | 구성 요소 | 설명 |
---|---|---|
사용자 | 응용 프로그램 | 브라우저, 데이터베이스 등 |
쉘(Shell) | 명령어 해석기 |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해 커널에 전달 |
커널(Kernel) | 운영체제 핵심 | 시스템 자원 및 하드웨어 제어 |
하드웨어 | 물리 자원 | CPU, 메모리, 저장장치, 네트워크 장치 등 |
📌 쉘은 사용자와 커널 사이를 중개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 커널(Kernel)이란?
커널은 운영체제의 중심부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에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 사용자 요청을 받아 하드웨어 자원(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제어합니다.
- 프로세스, 메모리, 디바이스, 파일 시스템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직접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쉘이나 시스템 콜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합니다.
✅ 커널의 핵심 기능
기능 | 설명 |
---|---|
디바이스 관리 | 드라이버를 통해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 제어 |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 생성, PID 할당, CPU 스케줄링 등 수행 |
메모리 관리 | 프로세스에 메모리 할당, 가상 메모리/스왑 포함 |
시스템 콜 제공 | 사용자 프로그램이 커널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
✅ 커널이 자원을 관리하는 이유
- 컴퓨터의 물리 자원은 제한적이고 복잡하므로, 커널이 이를 추상화하여 일관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 사용자에게 자원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듯한 환경을 제공해 충돌을 방지합니다.
- 보안성과 안정성,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해 필수적인 구조입니다.
✅ 마무리
리눅스 커널은 시스템 자원을 통제하고 사용자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를 이어주는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커널과 사용자 프로그램을 연결하는 시스템 콜(System Cal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