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DK 다운로드 경로와 Java 종류, Oracle 라이선스 정책 정리
이 글에서는 자바(Java)를 처음 사용하는 개발자부터 실무자까지 알아야 할 JDK 다운로드 방법, Java의 종류, 그리고 Oracle의 라이선스 정책 변화에 대해 정리합니다.
1. JDK 다운로드 경로 정리
Java는 다양한 벤더(배포사)에서 배포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JDK 배포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배포사 | 다운로드 링크 | 특징 |
---|---|---|
Oracle JDK | https://www.oracle.com/java/technologies/javase-downloads.html | 상용, 상업적 사용은 라이선스 주의 |
OpenJDK (공식) | https://jdk.java.net | Oracle이 오픈소스 버전 제공 |
Adoptium (Eclipse Temurin) | https://adoptium.net | 기업용으로 많이 사용됨, 무료 |
Amazon Corretto | https://aws.amazon.com/corretto/ | AWS에서 제공, 무료 |
Zulu OpenJDK | https://www.azul.com/downloads/zulu/ | IoT 및 임베디드 환경에 강함 |
Red Hat OpenJDK | https://developers.redhat.com/products/openjdk | RHEL 기반 서버에서 안정적 |
실무에서는 Eclipse Temurin(Adoptium) 이나 Amazon Corretto가 라이선스, 업데이트 주기, 안정성 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2. Java의 종류
종류 | 설명 |
---|---|
Oracle JDK | Oracle에서 직접 제공하는 상용 JDK. 일부 기능 및 성능 향상 포함 |
OpenJDK | 오픈소스 기반 JDK. Oracle JDK의 기본 뼈대 |
Eclipse Temurin (Adoptium) | OpenJDK 기반. 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LTS 지원 |
Amazon Corretto | AWS 기반 환경에 최적화된 JDK |
Zulu OpenJDK | Azul Systems 제공. 다양한 플랫폼 지원 |
GraalVM | 고성능 멀티언어 지원 VM (Java, JS, Python 등) |
Liberica JDK | BellSoft 제공. JavaFX 포함된 버전도 있음 |
3. Oracle Java 라이선스 정책 변화 (중요)
Oracle JDK는 Java 8까지는 무료로 사용 가능했지만, Java 11부터는 상업적 사용 시 라이선스 계약이 필요합니다.
[변화 요약]
버전 | 라이선스 정책 |
---|---|
Java 8 (build 202) 이전 | 무료 사용 가능 (단, 유지보수 종료됨) |
Java 8 이후 & Java 11+ | Oracle에서 제공하는 "OTN 라이선스" 적용, 상업적 사용 시 유료 |
Java 17~21 (LTS) | NFTC (No-Fee Terms and Conditions): 비상업적 사용은 무료, 기업은 주의 |
2023년 이후 | Oracle JDK는 2년마다 LTS, 연간 유료 유지보수 정책 적용 |
상업적 용도 또는 서버 배포 환경이라면 OpenJDK 계열 또는 Adoptium/Corretto 등의 무료 배포판 사용을 권장합니다.
4. 어떤 JDK를 써야 할까?
- 개발용/개인 학습 → OpenJDK, Temurin, Corretto 모두 무료
- 기업 서버 운영 → 라이선스 없는 Temurin, Corretto, Zulu 중 선택
- 최적화된 성능 → Oracle JDK (단, 유료 주의)
- GraalVM, JavaFX 등 특수 기능 필요 시 전용 JDK 선택
마무리
Java는 다양한 배포처가 존재하며, Oracle의 라이선스 정책 변화로 인해 목적에 따라 적절한 JDK 선택이 중요해졌습니다.
개인이나 기업 모두, 배포판의 라이선스 조항을 반드시 확인하고 사용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System Sett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WAS 개념 정리 시리즈] 1편 - WEB/WAS 개요 및 호출 구조 (0) | 2025.05.14 |
---|---|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4편 - 주요 명령어 및 커널 파라미터 설정 (0) | 2025.05.14 |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3편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0) | 2025.05.14 |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2편 - 시스템 콜과 커널 기능 (0) | 2025.05.14 |
[리눅스 개념 정리 시리즈] 1편 - 리눅스와 커널 개요 (0) | 2025.05.14 |